본문 바로가기
회계

부도대손위험을 파악하려면 매출채권을 보자

by ♡☆♧♤ 2020. 11. 16.

부도대손위험을 파악하려면 매출채권을 보자

대표이미지

매출채권은 기업의 중요한 자산이다. 따라서 이를 평가하는 문제도 매우 중요하다. 매출채권 평가는 결국 손해를 볼 가능성을 측정하고 인식하는 문제다. 매출채권은 일반상거래에서 발생하는 채권을 말하며, 미수령채권은 일반상거래 이외의 거래에서 생기는 채권(비유동자산의 처분 등)을 말한다. 기업이 상품이나 상품을 팔지 않고 받는 채권은 신용판매가 되고, 회사 공장 등 비유동자산을 처분하고 나중에 대금을 받을 채권은 회수되지 않는다고 한다.

건설업에서는 공사와 관련한 외상대금에 공사미수금이라는 계정과목을 사용한다. 상거래상 채권은 영업형태에 따라 매출채권 또는 미수취채권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가 기계를 판매하고 대금을 지불하지 않을 때 제조하고 유통하는 회사라면, 기계 판매는 1차 사업 활동이기 때문에 매출채권으로 계산된다. 그러나 다른 상품을 제조하는 회사가 이 기계를 재산, 공장, 장비로 판매한다면 반드시 미수금계정을사용해야 한다.

애매한 부분을 주의하자

매출채권은 기업에서 가장 중요한 자산이다. 그러나 이 역시 애매모호한 계정이다. 매출채권의 실제 존재여부를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사업을 하다 보면 물건을 팔았는데 돈을 떼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사실 사기가 아니더라도 여러 가지 사정으로 상대 회사가 파산 위기에 처할 수 있고, 자금 사정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돈을 받기가 매우 민망하다.

회계에서 매출채권은 손익계산서상의 매출과 직결된다. 매출이 인식되는 시점에 바로 현금으로 회수가 되면 현금 및 현금성자산 계정으로 흘러가고, 그렇지 않으면 보통 매출채권 계정으로 흘러가게 된다. 아직 돈을 받지 못한 경우에는 그 금액을 매출채권 계정에 기입하여야 한다. 다만 매출채권을 모두 실제 현금으로 회수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이는 결국 매출채권 평가의 문제로 볼 수 있다. 재고자산의 신용판매에서 발생하는 매출채권은 회수할 수 없다. 따라서 한 시점에 유용한 정보를 얻기 위해 회수할 수 없는 매출채권은 현행비용(상각비)으로 취급해야 하는데, 이를 '대손회계'라고 한다. 이는 정확한 시점 손익의 판단과 자산의 올바른 평가를 위해 필요하다.

대손충당금 방식에는 직접상각법과 충당금설정법이 있다. 직접상각방법은 기대손실을 회계처리하지 않고 매출채권이 실제로 발생한 경우 이를 손실 비용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이는 다른 고객이 파산하고, 차변측에서는 해당 매출채권을 신용으로 인식하여 대손상각비용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충당금 설정방법은 각 정산이 끝날 때 대출손실 원가에 일정 대손충당금 비율을 곱한 금액으로 인식하는 방식이다. 이때는 차변에 대손상각비와 대변에 대손충당금을 설정한다. 또 매출채권을 회수할 수 없을 때는 대손충당금과 대변에 해당 매출채권을 설정한다. 충당금설정법은 대손비용을 추정으로 계상한다는 단점이 있으나, 수익비용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고 기말 매출채권의 순실현가능가치로 평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업회계기준에서는 충당금설정법을 인정하고 있다.

충당금설정법 예시

1.매출이 발생한 경우

(차변)매출채권 5,000,000 (대변)매출 5,000,000

2.매출채권을 현금으로 회수하면서 5% 할인해줄 때

(차변)현금 2,850,000 (대변)매출채권 3,000,000

매출채권처분손실 150,000

3.기말에 매출채권 잔액에 대해서 대손충당금을 설정할 때(대손추정률 5% 가정)

(차변)대손상각비 100,000 (대변)대손충당금 100,000(판매관리비 항목)

미회수된 매출채권 2,000,000 0.05=100,000원

4.상대 거래처가 부도로 대손이 확정되었을 때

(차변)대손충당금 100,000 (대변) 매출채권 2,000,000(차변) 대손상각비 1,900,000

오늘 이렇게 매출채권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법인세법에서는 과세소득의 임의적인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대손 사유를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회계처리를 할 때 세무조정을 다시 해야 하는 수고를 덜기 위해서는 이를 참고해 대손을 잡는 것이 효율적이다.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형자산 감가상각  (0) 2020.12.01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0) 2020.11.30
무형자산은 어떻게 인식하는가?  (0) 2020.11.28
유형자산은 어떻게 인식하는가?  (1) 2020.11.27
자산이란 무엇인가?  (0) 2020.11.07

댓글